
반응형

원료 형태 비교: rTG vs EE 오메가3 · 글리시네이트 vs 산화 마그네슘
입문자를 위한 핵심만 빠르게 — 흡수·위장 편의·가격 포인트
1) 오메가3: rTG vs EE
오메가3는 지질 형태에 따라 흡수·가격이 달라집니다.
구분 | 특징 | 장점 | 주의/단점 |
---|---|---|---|
rTG (Re-esterified TG) | 자연 TG와 유사한 재에스터화 중성지방 형태 | 일반적으로 흡수 우수, 위장 부담 비교적 적음 | 가격이 높은 편, 품질 편차 존재 |
EE (Ethyl Ester) | 에틸에스터 형태로 정제·고농축에 유리 | 고함량 제품 가격 경쟁력, 캡슐 수 적을 수 있음 | 식후 섭취 권장(지질 분해 필요), 공복 시 트림 비린내 가능 |
💡 요약: 편한 흡수·위장을 우선하면 rTG, 고함량 가성비면 EE도 충분. 둘 다 식사 직후가 기본.
2) 마그네슘: 글리시네이트 vs 산화
마그네슘은 염 형태에 따라 흡수율과 위장 반응이 다릅니다.
구분 | 특징 | 장점 | 주의/단점 |
---|---|---|---|
글리시네이트 | 아미노산 킬레이트 형태(마그네슘+글ाइसine) | 흡수율 우수, 위장 자극 적음 → 수면·긴장 완화 목적에 인기 | 가격↑, 제형에 따라 함량(원소 Mg) 낮을 수 있음 |
산화 | 원소 Mg 비율 높음(함량표 유리해 보임) | 가격↓, 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음(삼투성) | 흡수율 낮고 설사·복부팽만 등 위장 자극 가능 |
💡 요약: 위장 민감·수면 개선 목적 → 글리시네이트 우선. 변비 경향 완화나 가성비 → 산화 고려.
3) 상황별 선택 가이드
상황 | 오메가3 선택 | 마그네슘 선택 |
---|---|---|
위장 민감/트림 비린내 싫음 | rTG + 식사 직후 + 냉장 보관 | 글리시네이트(저녁/취침 전) |
고함량·가성비 우선 | EE 고농축(식후 필수) | 산화(설사 시 감량/교체) |
수면/긴장 완화 기대 | 형태보다 정기 복용이 더 중요 | 글리시네이트 우선 |
4) 복용 꿀팁
- 🕒 오메가3는 식사 직후가 기본. 트림 비린내 시 냉장·야식 후 시도.
- 🥛 마그네슘은 저녁·취침 전에 1~2회 분할 복용하면 편해요.
- 🔍 라벨에서 EPA/DHA 함량(오메가3)·원소 Mg(마그네슘)을 확인하세요.
- ⚖️ 다른 보충제와 중복 성분/용량 체크는 필수.
5) 자주 묻는 질문
rTG만이 정답인가요?
둘 다 충분히 효과적입니다. 흡수 편의·위장을 중시하면 rTG, 고함량 가성비면 EE도 좋은 선택입니다. 핵심은 꾸준한 섭취와 총 EPA+DHA 용량입니다.
마그네슘은 설사를 꼭 유발하나요?
산화·염화 등은 설사를 유발하기 쉽지만, 글리시네이트·비스글리시네이트·시트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위장 부담이 적습니다. 불편하면 감량/분할/형태 변경을 고려하세요.
함께 보면 좋은 글
- 🟢 오메가3 기본 가이드rTG/EE 차이·복용 시간
- 🟢 마그네슘 가이드글리시네이트/산화 비교·복용 팁
- 🟢 원료 형태 비교(모아보기)rTG vs EE · Mg 염 비교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