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반응형
성기능(발기) 유지 가이드: 메커니즘→보충제→생활습관→약물
핵심은 혈류 유지와 정맥 유출 억제입니다. 아래에서 메커니즘·보충제·생활습관·약물·금기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목차
1) 성기능(발기) 유지 메커니즘 핵심
- 부교감 신경 활성화 → 음경 동맥 확장 → 해면체 혈류 급증.
- 해면체 팽창 + 백막(튜니카) 긴장 ↑ → 주변 정맥 압박 → 정맥 유출 억제.
- 결과: 해면체 내압 상승 → 강직도 유지.
2) 혈류 유지의 생리학(정맥 폐쇄 기전)
성적 자극 시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어 음경 동맥이 확장되고 혈류가 증가합니다. 해면체가 혈액으로 차면 백막·근막 긴장이 최대가 되어 주변 정맥을 눌러 혈액 유출을 차단합니다. 이를 정맥 폐쇄(veno-occlusion)라고 하며, 강직도를 좌우하는 핵심 단계입니다.
- 신경: 음부/해면체 신경의 신호 → 아세틸콜린·NO 경로 → 평활근 이완 & 혈류 유입.
- 조직: 두 개의 음경해면체 + 하나의 요도해면체 구조가 정상 작동해야 강직도 유지.
- 정맥성 누출(venous leak)이 있으면 유입이 정상이어도 강직 유지 실패 가능 → 전문의 평가 필요.
3) 성기능(발기) 유지에 도움 되는 성분·보충제
성분 | 핵심 포인트 | 메모 |
---|---|---|
L-아르기닌 | NO 전구체 → 혈관 확장·혈류 증가 → 경도 혈관성 문제에 도움 기대 | 위 민감 시 분할 복용 고려 |
L-시트룰린 | 아르기닌 재생 경로 → NO 경로 보조 | 동시 섭취 시 시너지 가능 |
비타민 B군(엽산·B12·B6) | 호모시스테인 관리 → 혈관·심혈관 리스크↓ | 수용성, 매일 소량 지속 |
비타민 D | 부족 시 성기능(발기) 위험↑, 대사·호르몬 축 보조 | 지용성: 식사와 함께 |
아연 | 테스토스테론·정자 기능 보조 | 장기 고용량은 구리 결핍 유의 |
이카린(음양곽) | PDE-5 경로 관련 억제 작용 보고 | 제품별 함량·표준화 확인 |
홍삼 | 혈류·피로 보조, 일부 임상 보고 | 항응고/혈당강하제와 상호작용 주의 |
라이코펜 | 항산화·전립선/정자 지표 보조 | 지용성: 기름과 함께 |
비타민 E | 지질막 항산화 → 세포 보호 | 항응고제와 과량 병용 주의 |
※ 보충제는 보조 수단입니다. 약물 치료·질환 유무·개인 체질에 따라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음.
4) 효과적인 생활 습관(실천 체크리스트)
- 운동: 유산소+근력 주 150분 이상 → 혈관 기능·NO 경로 보조. 꾸준함이 핵심.
- 수면: 7–8시간 확보 → 테스토스테론·성반응 안정.
- 금연·절주: 흡연은 해면체 산화스트레스↑, 과음은 신경전달 억제.
- 체중·대사: 체지방↓ → 인슐린·혈압·지질 개선 → 성기능 지표 개선.
- 스트레스: 수행불안↓, 호흡·센세이트 포커스 등 심리적 개입 병행.
5) 약리 기전 & 치료 옵션(의료 상담 필수)
옵션 | 기전/특징 | 핵심 주의 |
---|---|---|
PDE-5 억제제 (실데나필·타다라필·바데나필 등) |
PDE-5 억제 → cGMP 분해 억제 → 평활근 이완 & 혈류↑ (성적 자극 시 작동) | 니트레이트(협심증약)와 절대 금기 · 일부 α차단제 병용 주의 |
진공 음경 기구(VED) | 음압으로 유입 → 링으로 정맥 유출 억제 | 항응고제/출혈성 소인 주의 · 링 30분 이내 제거 |
알프로스타딜(주사/요도삽입) | 국소 혈관 확장 → 유입↑ | 지속발기증 위험 → 교육·용량 조절 필수 |
중요: 저테스토스테론 의심(성욕↓, 아침발기↓ 등) 시 아침 총테스토스테론 2회 채혈로 진단 확인 후 치료 결정.
참고 자료(출처)
- EAU/AUA 성의학 가이드라인(ED 평가·치료, VED 주의사항 포함).
- Princeton IV 컨센서스(2024): PDE-5 억제제 ↔ 니트레이트 절대 금기.
- NO 경로: L-아르기닌/시트룰린과 eNOS–cGMP–평활근 이완 기전 요약 리뷰.
- 비타민 D·B군·아연·항산화 관련 남성 건강 임상·메타분석 요약.
- 알프로스타딜 라벨/StatPearls: 지속발기증 등 경고.
※ 연구·권고안은 지속 업데이트됩니다. 최신 라벨/가이드 확인 권장.
안내/고지
- 본 글은 일반 정보입니다. 개인 병력·복용 약물에 따라 적합성이 다릅니다.
- 협심증약(니트레이트)·일부 α차단제·항응고제 복용 중이거나 심혈관 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진 상담 후 사용하세요.
- 통증·저림·청색증·지속발기(4시간↑) 등 발생 시 즉시 중단·진료.
- 보충제는 보조입니다. 생활습관 개선(운동·수면·금연·절주)이 효과의 기반입니다.
반응형